상단영역

본문영역

업계, 객관적 연구 부족 ‘게임 질병화’ 반대 … 국내외 연대 ‘강화’ 

  • 정우준 기자 coz@khplus.kr
  • 입력 2018.03.28 13:56
  • 수정 2018.03.28 15:05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3월 28일 서울 강남구 소재 롯데액셀러레이터에서 ‘2018 굿인터넷클럽 2차 행사’를 개최, 최근 글로벌 게임산업 최대 이슈인 세계보건기구(WHO)의 게임장애 진단코드 등록 추진 움직임에 대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수렴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에 이장주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소장 진행 아래 강경석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본부장,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장,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패널로 참석, ‘ICD–11, 게임질병 등재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열띤 토론을 펼쳤다.
 

▲ 토론회 현장 모습 (사진=경향게임스)
▲ 토론회 현장 모습 (사진=경향게임스)

먼저 토론회 참가자들은 현재 WHO가 ‘국제질병분류(ICD)-11’ 개정판에 ‘게임 장애(Gaming Disorder)’의 진단 기준을 추가하려는 계획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견지했다. 현재 ‘게임 장애’는 ICD-11의 베타버전에 등록된 상태로, 해당 항목에 대한 유병률이나 예후 추적 조사를 해보자는 취지로 WHO가 정식 출판을 추진 중이다. 다만 통계청에 따르면, ICD-11의 ‘게임 장애’ 진단 코드는 적어도 2025년까지는 국내에 도입되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대해 한덕현 교수는 “현재 미국심리학회의 ‘DSM-5’에도 ‘인터넷 게임장애’가 임시 진단기준으로 포함돼있으나, 공존질환 구분 문제나 종적연구 부족 등 여전히 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ICD-11’의 진단 기준에는 갈망·내성·금단증상 등 중독의 핵심 요소가 배제된 만큼, 의사의 진단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다소 모호하다고 강조했다.
 

▲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사진=경향게임스)
▲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사진=경향게임스)

더불어 강신철 협회장은 게임을 중독물질로 규정한다는 전제로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게임이 사회에 끼치는 악영향이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종합적인 연구로 얻은 객관적 데이터를 검증하는 작업이 선행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강경석 본부장 역시 “의학계 내부에서도 행위 중독이나 충동 조절 장애로 보는 입장이 공존하는 상황”이라며, “여론 악화로 인한 인재 수급의 어려움과 ‘중독물질’ 수출국이라는 오명 속에 게임산업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조승래 의원은 현재의 ‘게임 질병화’ 움직임이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서 초래된 극단적인 결과라는 입장이다. 이에 의학적, 논리적 근거 자료를 정리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게임이 4차 산업혁명의 총아로서 위상 회복과 부정적 인식 극복의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주장했다.
 

▲ 강경석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본부장 (사진=경향게임스)
▲ 강경석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본부장 (사진=경향게임스)

이어 토론회 참가자들은 게임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와 국내외 게임 협·단체의 연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업계를 대표하는 입장인 강신철 협회장은 “그동안 최대한의 노력을 했지만,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가진 분들을 설득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며, “향후 업계·학계·의학계·정부 등 다양한 참여자들과 함께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공감을 나타낸 국내외 게임 협·단체들과 대응방안을 논의,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구체적인 행동방침을 공개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사진=경향게임스)
▲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사진=경향게임스)

이와 같은 협회 움직임에 대해 강경석 본부장과 조승래 의원 역시 지원 의사를 표명했다. 우선 ‘대한민국 게임포럼’을 주최한 조 의원은 현재 ‘게임 질병화’ 논란의 문제로 실체가 불분명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즉, 게임을 질병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문제인지, 아니면 수단과 도구 혹은 향유의 문제인지 확실해야한다는 이야기다. 이에 조 의원은 보건복지부와 의학계를 중심으로 게임 중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만큼, 게임산업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융합연구를 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강경석 본부장은 “문체부와 복지부의 공동연구는 좋은 방안인 만큼, 기획재정부나 국회의 지원이 있다면 가능하다”며, “‘게임 장애’ 위험군이 대부분 청소년인 만큼, 아이들의 미래와 삶을 챙겨야 할 교육부도 이번 사안을 관심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덕현 교수는 융합연구가 좋은 시도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게임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자체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다른 중독에 비해 비중이 높은 게임의 공존질환 구분에 대한 기초 연구나 실제 게임으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를 경험하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5~10년 간 이뤄지는 추적 연구를 통해 명확한 기준을 세워야한다고 주장했다.
 

▲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 회장 (사진=경향게임스)
▲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 회장 (사진=경향게임스)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 회장은 “게임 질병화 움직임에는 충분한 연구와 설명이 부족한 만큼,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고 진단기준이 정확해야한다는 사실을 보여줘야한다”며, “국내외 게임 협·단체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온라인게임 종주국인 한국에서 주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향게임스=정우준 기자]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