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e스포츠 제도 바꿔야한다

  • 윤아름 기자 imora@khplus.kr
  • 입력 2020.12.21 15:24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스포츠가 2022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의 정식 종목으로 선정됐다. 지난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된 뒤 4년 만에 이뤄낸 성과다. 이번 항저우 아시아게임에선 e스포츠 종목에 총 6개 메달이 수여될 예정이다.

종합스포츠대회에서의 e스포츠 입지가 올라간 분위기다. 이번 아시안게임만 성공적으로 치러낸다면 올림픽 정식종목화 추진도 멀지 않은 이야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만약 e스포츠가 올림픽 종목으로서 자리를 잡는다면 더이상 e스포츠는 그들만의 문화가 아닐 것이다. 실제로 e스포츠가 아시안게임 시범종목으로 처음 채택된 뒤 시장에서의 가치는 급격히 상승했다. 유럽 프리미어 리그 등 전통 스포츠업계의 투자부터 공룡 미디어들의 중계까지 대중화에 한걸음 다가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후일담이지만, 당시 차기 개최국으로 꼽힌 중국은 아시안게임을 성공적으로 치러내기 위해 개최도시인 항저우에 약 1조 5천억원을 투지입해 e스포츠 타운을 건립하는 등 갖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e스포츠는 차세대 스포츠 문화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자리잡아가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 흐름에서 주도권을 잡지 못하면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e스포츠 종주국인 우리나라의 위상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고 조언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e스포츠계에 주어진 현실은 그닥 녹록치만은 않다. 가장 큰 문제는 제도적 현실에서 e스포츠의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게임에서 파생된 콘텐츠라는 이유로 e스포츠는 제도권 안에서 게임 산업 정책 안에 일부로서 자리하고 있다. 
때문에 e스포츠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이나 정책 결정은 게임 산업의 큰틀 안에서 이뤄져야 하는 까닭에 예산 집행이나 제도 실행에 앞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e스포츠 정체성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다는 생각이다. 최근 들어 e스포츠에 관한 정부의 정책은 스포츠화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경기장 구축, 선수 보호, 아마추어 육성 등 대다수 사업과 정책이 정식 스포츠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렇다면 이를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맞춤 기관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아시안게임을 여는 중국은 e스포츠를 정식체육종목으로 인정한 지 10년도 넘었다. 어마어마한 예산을 들여 전문 도시를 건립하는 것은 물론 학원가를 중심으로 관련 인적 자원을 발굴하는데 공을 들이고 있다. 단기간 내 중국이 e스포츠 주도권을 가져간 것은 단순히 시장 규모가 크기 때문은 아닐 것이다. 어떤 산업이든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없다면 그 성장엔 분명한 한계가 뒤따른다. e스포츠를 성장시키기 위한 정부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때이다.

 

[경향게임스=윤아름 기자]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