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중국 진출이 정답인가 

  • 윤아름 기자 imora@khplus.kr
  • 입력 2021.08.16 09:00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내 ‘공산당 리스크’로 인해 주변 산업들이 잔뜩 긴장하는 모습이다. 현지 최고 IT기업인 텐센트도 이로 인한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텐센트는 중국 관영 언론이 게임을 마약에 비유한 뒤 몇 시간 만에 청소년 게임 규제 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중국 정부의 눈에는 달갑지 않은 모양이다. 텐센트의 모바일 메신저인 위챗도 청소년 보호법 위반으로 중국 검찰이 민사 공익 소송을 제기했다. 현지 업계에 따르면 중국 검찰이 IT기업을 상대로 이와 같은 형태의 소송을 낸 것은 처음으로 전해지고 있다. 

사실 중국 정부의 이같은 기업 때리기는 비단 텐센트만 향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11월 알리바바의 금융투자 관련 계열사인 앤트 그룹을 시작으로 교육, 부동산, 헬스케어까지 중국 정부의 기업 규제는 관련 산업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정도로 심화되는 상황이다. 이를 두고 국내외 여론은 내년 중국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임 여부가 걸려있는 탓으로 자국 내 주요 기업들을 통제하려는 움직임으로 보고 있다. 3연임이 결정되기 전까지는 중국 정부의 이들 기업 제는 지속될 것이라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그래서인지 중국 내 해외 자본들도 발을 빼는 분위기다. 지난 10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도 2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중국 당국 규제가 예측할 수 없고 광범위하다는 이유로 투자를 잠정 보류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판호 발급 등 중국발 게임 사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국내 기업들도 현지 상황을 지속적으로 주시할 필요성이 있다. 국내 게임 시장에서 텐센트의 자본력은 가장 우위에 있다고 할 정도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관영 언론의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 노출만으로도 게임주가 하락세를 보인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몇몇 기업들이 판호 발급을 통해 한한령 이후 얼어붙은 중국 수출길에 대한 재개 가능성을 점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시기상조라고 입을 모은다. 어쩌면 중국 정부의 자국 기업 옥죄기가 우리에겐 기회일 수 있다. 중국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도 수출활로를 모색할 수 있는 틈새 전략과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한 때이다. 

 

[경향게임스=윤아름 기자]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