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美 트럼프 ‘보호무역’ 가시화,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시급’

  • 변동휘 기자 ngr@khplus.kr
  • 입력 2017.01.31 14:39
  • 수정 2017.01.31 14:40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자국우선주의 정책으로 시장 진출 ‘적신호’ 우려
- 빅마켓 공략 위한 현지 기업과의 공조 확대 ‘필수’
 
최근 발동된 반이민 행정명령 등 ‘파격’에 가까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국우선주의와 보호무역정책의 시작이라는 분석을 내놓는 가운데, 이러한 시책 기조가 장기적으로 국내 게임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에 대해 현지 업체들과의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으며, 비즈니스 미팅 확대 등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는 자국우선주의로 정리된다. 세계 각지에 흩어져있는 생산공장 등을 본토로 옮겨 세금을 내도록 하고, 자국민을 우선적으로 고용하도록 하겠다는 의미다. 이로 인해 자동차 등 국내 주요 수출기반 산업들이 일차적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시책이 장기화된다면 국내 게임업계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현재 자동차 업계 등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응으로 미뤄봤을 때, 중국의 사례처럼 현지 법인 설립과 현지인 직원 고용 등을 강제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자국우선주의 기조가 확대된다면 국내 게임사들의 미국 시장 진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특히 자본 규모 등에서 여유가 부족한 중소 게임사들은 시장 진출의 문턱이 대폭 높아질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현지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하다는 평가다. 대형 게임사들은 현지 법인을 활용할 수 있지만, 중소 개발사들은 중국 시장처럼 현지 퍼블리셔를 통해 진출하는 방법이 유일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에 따라 비즈니스 미팅 확대 등 정부 및 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한 중소 게임사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언어 등의 측면에서 북미 시장 진출 장벽이 낮았지만, 미국 정부가 게임분야에도 유사한 정책을 펼친다면 현지 기업을 통해 진출하는 방식이 유일한 우회로가 된다”며 “비즈니스 미팅 기회가 확대되고, 정부의 지원이 이어진다면 이에 대비하기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드 배치 관련 중국 정부의 한류 제재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역시 보호무역 정책을 채택하며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은 넷마블 방준혁 의장이 중요 시장으로 바라본 ‘빅 마켓’인 만큼, 해당 사안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각 게임사들의 철저한 대비와 정부의 능동적인 역할이 요구되는 가운데, 미국 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변화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