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디지털 쇄신의 필요성 

  • 윤아름 기자 imora@khplus.kr
  • 입력 2021.04.19 11:21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상자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뜨겁다. 암호화폐 붐업이 일면서 이를 재산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인가를 놓고 찬반논쟁도 일고 있다. 진작부터 게임은 가상의 자산이 보편화된 콘텐츠다. 게임 내 아이템이 바로 대표적이다. 사실 현행법 상 게임 아이템은 개인의 재산으로 인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특정 게임의 아이템은 현실에서도 활발하게 거래되면서 경제적인 가치를 지니기도 한다.  

이미 게임 속 가상 경제의 구조와 시스템을 오랜기간 학습하고 개선한 게임사들 입장에서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가상자산의 시장이 그리 낯설지가 않다. 오히려 이들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역량과 다년간의 서비스 경험은 타 산업군보다 훨씬 유리할 수 있다. 

게임사들도 자사의 강점을 활용해 전략적인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일찌감치 위메이드는 블록체인 자회사를 설립한 후 전용 암호화폐를 발행한 바 있다. 그뿐인가. 빗썸 인수설에 거론되는 기업 중 한 곳으로서 해당 시장 공략을 위해 공격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이다. 
게임빌도 19일 가상자산 거래소인 코인원에 300억 원 투자를 단행하며 지분 13%를 확보했다. 

전문가들은 전세계적으로 가상자산이 지닌 경제적인 파급력이 거세지는 만큼 실물경제와 맞물려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게임사들도 이러한 흐름을 자각하고 스스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가상자산에 대한 정책과 제도는 아직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예컨대 게임만 보더라도 블록체인을 탑재한 게임에 대해서는 게임물관리위원회가 등급 분류를 거부하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에 대해 사행성이 짙다고 판단한 까닭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볼 수만은 없다는 생각이다. 이미 글로벌 기업들이 하나둘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장악력을 고려해 여러 투자를 단행하고 있고 관련 분야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만약 기존 법체계와 사회적 제도를 유지한다면 우리만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는 과오를 범할 수 있다. 제도 개선이 필요하면 정비를 해야 하고 정책적인 지원을 하려면 정부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 변혁의 시대에 맞설 수 있도록 디지털 쇄신에 정부를 비롯한 관련업계 모두가 적극 나서야 할 시점이다. 

[경향게임스=윤아름 기자]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