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비트코인 역대 11월 통계분석… 평균 상승치 ‘78.84%’

11월 비트코인 시세 상승 우세… 가치 평가로 빚어낸 +78.84%
2021년 11월 FOMC 결과 주목… 사회기반시설 법안 주목해야

  • 유동길 기자 ydg@khplus.kr
  • 입력 2021.11.03 18:11
  • 수정 2021.11.03 22:47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트코인은 역대 11번의 11월 동안 8번 상승했고 3번 하락했다. 8번 상승의 평균치는 78.84% 증가 추세로 나타났고 3번의 시세하락은 평균 22.31% 꼴로 시세 약진을 보였다. 
역대 11월 비트코인 가격 상승이 가장 두드러졌던 3개년은 2013년, 2017년, 2020년 순으로 확인됐다.
시세 증가폭으로 본다면 2013년도가 가장 두드러지는 결과를 보였지만 나머지 두 해가 비교적 최근이었다는 것은 이 달의 통계 분석에서 인상적인 부분이었다.
역대 열한 번의 11월 중 비트코인은 총 세 번 시세 하락을 맞이했다. 그러나 평균 하락치는 22.31%로 집계되며 평균 상승치에 비해 비교적 순조로운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11월 간 세 번의 하락 중 가장 큰 폭으로 하락을 기록한 해는 2018년으로 확인됐으며 뒤를 2019년도와 2011년도가 따랐다.
 

금년 11월의 경우 오는 11월 3일과 4일에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FOMC) 결과가 이 달의 쟁점이 될 것으로 분석한다. 연방준비제도는 정례회의를 통해 자산매입축소(테이퍼링)과 기준금리 인상에 관한 내용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이 지난 9월 기준 금리 인상 시점을 내년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한 것을 고려했을 때 테이퍼링 실시여부가 더 큰 이슈가 될 것이란 입장이다.
 

표=경향게임스
표=경향게임스

가치 평가 기반 평균 상승치 ‘78.84%’
2013년 11월 비트코인 시세 상승은 공공기관의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일어났다. 당해 11월 미연방준비제도의 벤 버냉키 의장이 비트코인을 우호적으로 평가함에 따라 한국, 유럽, 중국, 일본, 등의 언론이 비트코인을 조명하기 시작했다.
이에 가상화폐 시장에는 전 세계적으로 투자자들이 몰리며 비트코인은 전월대비 451.05% 상승한 1천200달러(한화 약 141만 8,160 원)에 거래됐다.  
공공기관 외 기관의 행보도 비트코인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의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가 사이트 내 비트코인 지급 결제를 허용하면서 중국 내에서 가상화폐에 대한 큰 관심을 이끌어 냈다.
2013년 11월 시세와 관련해 흥미로운 부분은 지중해의 국가 키프로스 내 니코시아 대학교가 비트코인을 수업료 대신 지불할 수 있는 방법으로 채택한 것이었다. 발표 당시 이 대학의 재정 과장은 비트코인을 ‘내일의 금(Gold of tomorrow)’로 표현하기도 했다.
비트코인의 상품화는 2017년 11월 가격 상승의 원동력이었다. 해당 년도는 미국 내 기업들이 사업적 차원에서 비트코인을 하나의 금융상품으로 해석한 시기였다.
이 시점부터 시카고상품거래소는 비트코인 선물 거래를 시작했다. 금년도 10월 승인된 비트코인 ETF 안건은 당시부터 이어진 결과물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 최고경영자(CEO) 테런스 더피(Terrence A. Duffy)는 당시 비트코인 상품 도입 취지와 관련해 “진화하는 가상화폐 시장에 고객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라며 “이에 비트코인 선물 계약을 도입하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또한 2017년 11월은 글로벌 디지털 결제 기업인 페이팔이 가상화폐를 결제 시스템 항목으로 채택했던 시기였다. 이 시점부터 페이팔은 당사의 고객들이 페이팔 계정을 통해 비트코인을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같은 시점에 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빅 3 거래소에 대한 규제를 가했지만 비트코인이 하나의 금융 결제 상품이 될 수도 있을 거라는 투자자들의 기대심리는 꺾지 못했다.
비교적 최근인 2020년 11월 비트코인 시세 상승에는 코로나19 사태와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일조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발병 이후 각국의 정부가 국민들에게 지원금 등을 지급함에 따라 화폐의 가치가 떨어졌고 이에 한정적 수량을 지닌 비트코인의 가치는 상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JP 모건의 니콜라스 파니지르조글루(Nikolos Panigirtzoglu) 분석가는 “바이러스 위기로 비트코인이 재평가를 받고 있다”라며 “특히 비트코인은 금에 대한 대체 통화로 각광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2020년 11월은 미국 대선이 진행됐던 시기다. 가상화폐 업계는 미국 대선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승리한 이후 비트코인에 대한 기대감도 높였다.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팀에는 친(親)가상화폐 인사라고 평가받던 개리 겐슬러 전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이 있었기 때문이다. 
개리 겐슬러는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위원장 역할을 맡으며 지난 10월 비트코인 선물 ETF를 승인했다. 또한 바이든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비해 친기업 성향이 적기 때문에 거대 업체를 상대로 증세를 실시할 것이고 이에 납세를 피하고자하는 자금 일부가 가상화폐 시장으로 옮겨질 수도 있을 것이라는 예측도 존재했다.

미국과 중국발 규제, ‘22.31%’ 하락 요인
역대 11월 중 최악의 하락을 기록한 2018년 11월의 폭락에는 미국 정부발 규제와 가상화폐 시장 내 토큰 개발자들의 마찰이 영향을 미쳤다.
해당 연도 11월 미국 법무부는 가상화폐 비트피넥스(Bitfinex)와 현금과 가상화폐 중개 역할을 하는 테더(Tether) 토큰에 대한 조사를 착수했다. 증권거래위원회가 아닌 미국 법무부가 가상화폐 시장에 직접적으로 개입한 이유는 양측이 비트코인의 시세를 임의로 조작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증권거래위원회는 토큰 발행 업체인 에어폭스(AirFox)와 파라곤(Paragon)에 벌금을 부과하기도 했다. 두 업체의 대표가 정식으로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가상화폐를 배포했다는 혐의였다. 
비트코인캐시 내 두 노선이었던 비트코인ABC와 비트코인SV의 토큰 개발자 간 갈등은 해시전쟁으로 이어졌다. 해시전쟁의 시작은 시스템 개선 작업인 하드포크를 두고 발발했다. 
비트코인캐시의 하드포크를 앞두고 비트코인ABC 진영은 스마트계약 솔루션 시스템을 채택하자고 주장한 반면 비트코인SV 측은 기존 프로토콜을 사용하면서 개선하자는 의견을 내놓으며 갈등이 심화됐다. 이에 가상화폐 시장은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었고 이는 곧 시장 전반의 약세로 이어졌다.
2019년도의 경우 중국발 악재와 기술적 요소가 합쳐져 하락을 빚어냈다. 해당 연도 4월 중국의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비트코인 채굴이 법과 규정을 준수하지 않고 자원 낭비를 일으킨다는 이유로 채굴 금지 규제를 가했다. 이는 2019년 한 해에 걸쳐 가상화폐 시장 하락세를 촉진시킨 요소로 작용했다.
또한 중국 내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당해 11월 큰 타격을 입었다. 이 기간동안 중국 내 거래소 170여 곳이 중국 인민은행 명령에 의해 문을 닫았다. 더불어 인민은행이 투자자들에게 가상화폐 투자 지양을 요청함에 따라 비트코인의 시세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또한 해당 연도에 비트코인 그래프가 데드크로스를 맞이했던 것도 눈 여겨볼만하다. 데드크로스는 장기 이동평균선(200일)이 단기 이동평균선(50일)을 하향 통과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데드크로스는 해당 상품 하락 추세로 해석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2019년 11월 비트코인의 하락은 예고됐었다는 분석도 존재했다. 이 시기의 데드크로스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한 달 만에 10% 이상 폭락했다.
마지막으로 2011년의 11월 비트코인 시세는 해당 연도 가격 거품에 영향을 받았다. 2011년 2월 1달러(한화 약 1,181 원) 수준에서 거래되던 비트코인은 넉 달 만에 30달러(한화 약 3만 5,445 원)까지 치솟았다. 다크 웹 시장 실크로드에 대한 뉴스 때문이었다. 
다크 웹 시장 뉴스는 비트코인을 사용해 마약거래를 하는 방법에 대해 다뤘다. 이에 대중들은 비트코인에 관심을 쏟았고 이는 비트코인 시세의 기록적인 상승을 만들어냈다. 대중이 관심을 쏟은 이유는 두 가지였다. 비트코인을 이용한 실제 범죄 참여 목적과 비트코인을 범죄에 사용할 만큼 활용성 높은 지불 수단으로 보는 입장이 뒤섞인 이유였다.
이에 비트코인은 당해 6월 8일 당시 신고가 31.91달러(한화 약 3만 7,708 원)을 기록한 후 4개월 동안 93% 이상 가치 손실을 맞이하며 장기적인 하락세에 돌입한다. 2011년 11월의 비트코인 가격은 당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장기 약세장이 만들어낸 결과였다.

2021년 11월 가상화폐 제도권 ‘화두’
금년도 11월의 경우 3일과 4일에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FOMC) 결과가 가상화폐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해당 회의를 통해 가상화폐 업계가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미국 중앙은행의 테이퍼링과 기준금리 인상이다.
자산매입 축소가 비트코인 시세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정부가 시장에 유통하는 자금의 양을 줄일 경우 달러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코로나19 사태로 시세 상승의 효과를 봤던 비트코인의 특수성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의 테이퍼링은 2020년 코로나 19로 수혜를 본 비트코인 시세가 역방향의 상황을 맞이할 수 있는 기폭제가 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또한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가상화폐뿐만 아니라 투자에 사용되는 동산(動産) 자체가 예금 또는 적금 등 은행으로 상당수 이동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의 제로금리를 벗어난다는 것 이외에도 가상화폐 시장 유통 금액 자체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이는 곧 시장의 약세로 이어질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다. 다만 연준은 지난 9월 정례회의에서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오는 2022년으로 시사한 바 있다.
더불어 미국 연방정부의 사회기반시설 법안 추진도 가상화폐 시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 중 하나다. 사회기반시설 법안은 미국 정부가 향후 8년간 1조 2,000억 달러(한화 약 1천411조 원)를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책으로 이 중 280억 달러(한화 약 32조 9,280억 원)를 가상화폐 시장으로부터 마련할 계획으로 움직이고 있다.
다만 연방정부 차원에서 사회기반시설 법안을 추진한다는 것을 미루어보았을 때 연방은행의 테이퍼링이 시작되더라도 가상화폐 시장은 일정 기간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방정부가 가상화폐 시장에서 세금을 걷을 계획인 현재의 상황에서 테이퍼링의 시작으로 해당 시장의 규모가 줄어든다면 세수를 확보할 명분 역시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비트코인 선물 ETF 승인도 이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화제성에 비해 접근성이 떨어졌던 가상화폐를 금융상품으로 내보임으로써 경제 시장 전반의 관심과 유통되는 자금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 세수를 확보할만한 방안을 마련했을 거란 입장이다. 가상화폐가 선물 ETF를 출시하며 금융 제도권에 안착한 가운데 사회기반시설 법안은 미국 정부가 해당 자산을 행정 제도권에 안착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될 것으로 분석한다.

 

[경향게임스=유동길 기자]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