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정부, 전력 공급 압박에 현지 가상화폐 채굴 관련 친화정책 폐지
노르웨이 정부가 지난 10월 6일(현지시간) 현지 가상화폐 채굴에 대한 전기세 인하 정책의 폐지를 시사했다.
노르웨이 정부는 지난 2016년 이후 가상화폐 채굴장(데이터 센터)에 전기세 인하 혜택을 제공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현지 가상화폐 채굴장은 노르웨이 규제 당국의 이번 결정으로, 향후 다른 산업과 동일한 수준의 전기세를 지불할 것으로 확인됐다.
노르웨이 당국의 전기세 인하 정책 폐지 배경에는 공급 압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재무부 장관은 정부 웹사이트를 통해 “현재 시장은 지난 2016년 정부가 가상화폐 채굴장에 전기세 요금 인하를 제공했을 때와 완전히 다른 상황이다”라며 “많은 곳에서 전력 공급 압력이 발생하고 있고 가격이 오르고 있다”라고 말했다.
각국의 비트코인 채굴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케임브리지 대학 자료(CBECI)에 따르면 지난 1월을 기준으로 노르웨이는 전 세계 생산량의 0.74%의 점유율을 확보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유럽 내 노르웨이보다 더 높은 비트코인 생산량을 보유한 나라로는 러시아, 독일. 아일랜드 등이 있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0.07% 수준의 전 세계 비트코인 생산 점유율을 나타냈다.
미국과 중국은 각각 37.84%와 21.11%로 전 세계 비트코인 최다 생산국 1위와 2위에 순서대로 이름을 올렸다. 중국의 경우 지난해 비트코인 생산 및 거래가 정부 규제로 전면 금지된 가운데 높은 순위를 기록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인 체이널리시스는 올해 중국 내 비트코인 사용 현황에 대해 현지 단속이 효과가 없어 보인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현지 제재가 느슨히 시행됐을 거라는 게 체이널리시스의 의견이었다.
한편 중국 후난성 공안 당국은 지난 9월 23일 가상화폐를 이용해 400억 위안(한화 약 7조 9,572억 원) 규모로 자금 세탁을 시도한 일당을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현지 공안은 체포된 일당이 유선 사기 및 불법 도박으로 가상화폐를 구매한 후, 다시 미국 달러로 환전하는 방식을 통해 자금을 세탁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