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디지털화폐 보급 활성화 위해 ‘홍바오’ 기능 추가

2022-12-29     유동길 기자

중국 정부가 오는 1월 22일 내년 설날을 앞두고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이하 디지털화폐)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홍바오’ 빨간색 봉투 기능을 추가했다. ‘홍바오’는 붉은 봉투를 뜻하는 중국말로 현지에서 세뱃돈이나 결혼식 축의금을 ‘복(福)’ ‘길(吉)’ ‘재(財)’ 등의 글자가 적힌 붉은색 종이봉투에 넣는 관습을 뜻한다. 
 

사진=경향게임스

알리바바 그룹의 계열사이자 홍콩의 매체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12월 26일 중국 디지털화폐 애플리케이션 내 ‘홍바오’ 기능이 추가됐다고 밝혔다. 중국 디지털화폐의 이름은 ‘디지털 위안(e-CNY)’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디지털 위안’ 애플리케이션이 출시 후 1년간 소비자를 모으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의 이번 계획도 현지 전자 결제가 보편화됨에 따라 고객 모시기의 일환으로 계획됐다는 것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의 설명이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31일을 기준으로 ‘디지털 위안’의 누적 거래금액 규모 1천억 위안(한화 약 18조 1,700억 원)이다. 지난 1월부터 8월 말까지의 ‘디지털 위안’의 누적 거래금액 규모는 총 124억 위안(한화 약 2조 2,530억) 수준이었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2021년 말까지 ‘디지털 위안’을 사용한 누적 거래금액이 876억 위안(한화 약 15조 9,169억 원)이라고 공개한 바 있다. 역대 ‘디지털 위안’의 사용자와 누적 거래액과 건수는 각각 560만 명과 3억 6천만 건으로 집계됐다. 
 

인민은행이 디지털화폐 보급화를 위해 새뱃돈 봉투 기능을 추가했다(사진=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현재 인민은행은 중국 내 열다섯 곳의 성에서 ‘디지털 위안’ 사용 실험 및 배포를 진행한 상태다. 행정구역 상 중국의 성은 우리나라의 도와 비슷한 개념이며 총 23개의 성이 있다. 
인민은행은 소매 결제를 포함한 금융과 세무, 정부 업무와 기업의 사업에서 디지털화폐 사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 위안’ 보급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 국제 거래 실험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도 힘쓰는 중이다. 
지난 9월 국제결제은행(BIS)과 중국은 홍콩, 태국, 아랍에미리트 중앙은행과 함께 디지털화폐 국제 거래를 실시한 바 있다. 총 네 곳의 중앙은행이 합동으로 실시한 디지털화폐 국제 결제 사용 실험은 2,200만 달러(한화 약 279억 2,900만 원) 규모로 이뤄졌다. 
사용 실험 기간에는 총 160회 자금이 국경 간 이체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인민은행의 디지털화폐 국제 사용 실험을 두고 “은행이 중개자로서 미국 달러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거래를 해결할 수 있다면 국제 금융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로이터는 ‘디지털 위안’ 누적 거래금액 규모가 지난 8월 31일을 기준으로 1천억 위안(한화 약 18조 1,700억 원)을 돌파했다고 보도했다(사진=로이터)

한편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이강 총재는 지난 10월 31일 ‘2022 홍콩 핀테크 위크’ 행사를 통해 ‘디지털 위안’ 사용에 있어 개인정보 보안을 보장하겠다고 알렸다. 인민은행의 ‘디지털 위안’ 발행에 있어 최우선 과제 중 하나는 사생활 보호라는 게 이강 총재의 견해였다. 
이강 총재는 현재 인민은행이 두 가지 체계를 통해 ‘디지털 위안’ 사용의 익명성과 재정 보안을 보호하는 방안을 구축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가 언급한 두 가지 체계는 ‘디지털 위안’ 유통 방법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강 총재는 중앙은행이 공인 사업자에게 ‘디지털 위안’을 제공하고, 공인 사업자는 대중에게 유통하는 방식으로 디지털화폐가 배포될 거라고 전했다(사진=중국 인민은행)

이강 총재는 “‘디지털 위안’은 2단 시스템을 채택하는데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인민은행이 공인 사업자에게 디지털화폐를 제공하고 기관 간 거래 정보만 처리하는 것이다”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공인 사업자가 대중에게 교환 및 유통 서비스에 필요한 개인 정보만 수집하는 것이다”라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