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블록체인 펀드 ‘트루글로벌벤처스’, 2023년 5대 웹3 메가트렌드 공개

2023-02-01     유동길 기자

싱가포르 기반 세계 최초 블록체인 펀드인 트루글로벌벤처스(TGV)가 지난주 ‘2023년 웹3(Web 3.0, 분산화 인터넷) 분야 5대 메가트렌드(대유행)’ 목록을 공개했다. 
 

트루글로벌벤처스

‘웹3 유니콘 기업’, ‘탈중앙화’, ‘개인정보보호 가속화’, ‘오픈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인공지능(AI)’는 트루글로벌벤처스가 올해 주목하는 다섯 가지 항목이었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웹3 유니콘 기업’의 경우 올 한해 커뮤니티를 기반한 생태계 구축에 심혈을 기울일 것으로 봤다. 중앙화된 인터넷 산업인 웹2(Web 2.0)의 경우 기업 발전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지만 웹3 기업의 경우 생태계 확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게 트루글로벌벤처스의 설명이었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지난 해 상승세를 기록한 기업들은 2023년에도 성장 가능성이 높다”라며 “올 한 해 유니콘 기업들은 기반을 다지며 기업공개(IPO)를 준비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지난해 웹3 산업 불황은 모든 기술 분야 침체와 같은 사이클에 위치했다는 점에서 과거와는 다른 양상이었다고 설명했다(사진=아이리시테크뉴스/ irishtechnews)

‘탈중앙화’는 트루글로벌벤처스가 제시한 두 번째 메가트렌드 항목이었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지난해 가상화폐 시장에서 발생한 ‘루나/테라’ 생태계와 에프티엑스(FTX) 거래소 붕괴가 개인 디지털자산 지갑 업체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3분기에 걸쳐 300%가량이 기업 성장세를 보인 ‘렛저(Ledger)’, ‘트레져(Trazor)’는 트루글로벌벤처스가 거론한 대표적인 시장 주도 업체였다. 지난해 주요 가상화폐 시장 업체의 붕괴 이후 살아남은 업계 신생 기업들이 2023년에 걸쳐 빛을 볼 것이란 게 트루글로벌벤처스의 입장이었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중앙화거래소 등 중앙집권화가 살아남을 수 있냐고 묻는다면 당연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다”라면서도 “하지만 투명성 접목 여부는 중앙집권화된 가상화폐 업체의 생존을 위한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디지털자산 지갑 제조업체인 ‘렛저(상)’와 ‘트레져(Trazor)’

트루글로벌벤처스의 5대 대유행 목록에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내용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개인정보보호’ 내용은 에프티엑스 거래소와 관련해 다뤄졌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에프티엑스 거래소 붕괴와 같은 사건들로 인해 보안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급증했다”라며 “규제 기관과 업계까 높아진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해야 할 날이 머지않았다”라고 덧붙였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블록체인 기술의 경우 개인과 개인 간 거래를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디지털신원(ID)’과 결합돼 가치의 중요성을 입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신원’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해 온라인상에서 개인이나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디지털신원은 블록체인 활용 기술 중 하나다(사진=BLOGSPOT)

‘2023년 웹3 분야 5대 메가트렌드’ 네 번째 키워드는 ‘오픈 확장가상세계’가 차지했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블록체인 토큰을 통해 사용자 자유를 보장해주는 환경을 ‘오픈 확장가상세계’로 정의했다. 문화·엔터테인먼트 행사는 ‘오픈 확장가상세계’ 관련 기대 요소로 뽑혔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홍콩 메가시티 새해(음력) 및 터키 라마단 등은 물리적 세계와 가상 세계의 가교역할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컬쳐버스(Cultureverse, 문화 가상확장세계)의 예시다”라며 “확장가상세계에서 사회적(소셜) 기능이 발전하면 사용자 경험 역시 더욱 진화해 이용자들의 사용 시간도 증가할 것이다”라고 피력했다. 
‘오픈 확장가상세계’의 투자를 촉진할 주체로는 각국의 정부가 지목된 점도 눈여겨볼 만했다. 
 

서울시의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버스 서울’(사진=경향게임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정부 주도 ‘오픈 확장가상세계’의 예시로 서울시가 이달 선보인 ‘메타버스 서울’을 소개하기도 했다. ‘메타버스 서울’은 서울시가 공공 서비스 개선을 목표로 출시한 플랫폼이다. 
마지막으로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웹3 산업 내 ‘인공지능’ 기술 약진을 내다봤다. 
‘챗지피티(ChatGPT)’ 등의 서비스가 웹3 산업까지도 영향을 미쳐 효율적인 도구와 애플리케이션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게 트루글로벌벤처스의 견해였다. ‘챗지피티’는 ‘인공지능’ 기반 훈련된 자연 언어 처리 모델을 뜻한다.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웹3 산업에서 구동될 탈중앙화된 ‘인공지능’은 신뢰할 수 있는 투명한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다”라며 “노드 네트워크(node network)를 통한 데이터 배포는 탈중앙화된 ‘인공지능’의 방어력과 안정성을 높일 것이다”라고 짚었다. 
 

홍콩에 본사를 둔 가상화폐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

한편 트루글로벌벤처스는 지난 2021년 9월 1억 달러 규모의 블록체인 펀드 ‘트루글로벌벤처스 4 플러스 펀드’를 조성했다. 
‘트루글로벌벤처스 4 플러스 펀드’에는 블록체인 게임 부문 유니콘 기업 ‘애니모카브랜드’, 비상장 증권 플랫폼 솔루션 기업 ‘포지글로벌’, 블록체인 메타버스 플랫폼 ‘더샌드박스’가 참여해 업계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