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중앙은행-재무부, 정부 디지털화폐 ‘필요’ 합의 도출
영국의 중앙은행인 영란은행과 현지 재무부가 향후 ‘디지털파운드’ 발행이 필요할 것이란 의견을 도출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현지 매체인 텔레그래프(telegraph)는 지난 2월 4일 영란은행과 영국 재무부가 ‘디지털파운드’ 관련 공개 협의를 시작할 준비 중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디지털파운드’는 영국 금융 당국이 발행하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이름이다. 텔레그래프는 영국 정부가 현금 사용 감소에 대처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디지털파운드’를 출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영란은행과 영국 재무부가 다음주 중 ‘디지털파운드’ 출시 계획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할 전망이다.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현재 영국 금융 당국은 ‘디지털파운드’ 인프라 구축을 확신하긴 이르지만, 준비 작업을 추가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판단 중으로 파악됐다.
앤드류 그리피스(Andrew Griffith) 재무부 장관의 경우 지난달 ‘디지털파운드’에 대한 현지 당국의 공개 협의가 수 주 안에 시작될 거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영국 내 ‘디지털파운드’ 개발 의지는 지난해 4월 영국 재무부와 영란은행의 디지털화폐 합동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하며 본격화됐다.
당시 앤드류 그리피스 재무부 장관은 ‘디지털파운드’에 대한 실험이 도매 디지털화폐 사용에 목적을 둔다고 덧붙였다. 도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는 은행예금이나 지준을 대신해 환매계약이나 증권 매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영란은행의 경우 지난해 12월 ‘디지털파운드’ 견본 지갑 개념증명(PoC)에 대한 입찰을 진행했다. 개념증명은 시장 내 신기술 도입 전 검증과 실증을 통한 아이디어 실현 및 타당성 증명하는 과정을 뜻한다.
영란은행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디지털화폐 연구팀과 지난해 3월 일 년 기간의 프로젝트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도 했다.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는 당시 영국이 디지털화폐 도입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지만, 잠재적인 기술 설계 및 접근 방식을 조사 및 실험하고 기회와 위험을 평가할 거라고 알렸다.
한편 영국 재무부는 지난 2월 1일(현지시간) 가상화폐 규제 관련 공개 의견 수렴서를 발간했다.
가상화폐 규제 공개 의견 수렴서는 총 82페이지 분량으로 작성됐다. 오는 4월 30일까지 이어질 공개 의견 협의를 통해 영국 재무부는 현지 가상화폐 기업, 금융기관, 학계, 소비자 등 각계각층의 입장을 수렴할 예정이다.
수렴서에서는 가상화폐 ‘현행 규제 환경’, ‘발행 및 공시’, ‘거래소’, ‘수탁’, ‘대출 플랫폼’ 등에 대한 규제 사항이 다뤄졌다. 예를 들어 ‘대출 플랫폼’은 ‘투자 위험 경고’, ‘자본 및 유동성 준비’, ‘명확한 계약 조건’ 등을 갖고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