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문체부 예산 발표에 게임 업계 공분, 정부 또 ‘헛발질’

  • 안일범 기자 nant@khplus.kr
  • 입력 2015.12.14 11:23
  • 수정 2015.12.14 11:25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시장 정체 대안은 ‘가상현실’ 발표에 ‘황당’ 
- 현실과 동떨어진 ‘표심잡기용 예산’ 날선 비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2016년도 예산을 총 5조 4,948억원으로 확정한 가운데 게임산업 육성에 351억원(2015년대비 67%증가)을 배정하겠다고 밝혔다. 국가 차원에서 창조경제의 성장 동력 산업으로 게임산업을 육성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번 문체부가 밝힌 예산은 지역 게임산업 육성과 가상현실 분야 신규 플랫폼 발굴에 집중됐다. 반면 온라인게임과 모바일게임 분야에 대해 한마디 언급조차 없는 상황에 기존 업계인들은 황당하는 입장이다. 전체 예산 중 대부분을 지역 게임 산업 육성이라는 명목으로 쓰면서 실질적인 성과가 없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예산을 배분한다는 점에서 표심을 고려한 나눠주기식 예산안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레드오션화 돼 가는 시장 때문에 게임 회사들이 쓰러져가는 상황은 보지 않고 엉뚱한 곳을 겨냥해 표심잡기식 예산 배정을 하는 것 아니냐”며 거세게 비판했다.

문체부는 올해 예산으로 지난해 대비 약 5천억원 증가한 예산을 배정받았다. 정부 전체 예산이 3천억원 삭감된 상황에서도 증액이 된 점을 감안하면 문화체육 분야는 정부가 중요하게 판단하는 분야임은 틀림이 없어 보인다. 문체부는 오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문화올림픽’으로 개최하겠다는 전략 하에 우리나라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문화 콘텐츠 육성에 주력하겠다고 공표했다.
특히 문체부는 이번 예산안을 공표하며 게임산업을 크게 언급, 국가 차원에서 창조경제의 성장 동력 산업으로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들이 생각한 게임산업은 게임 시장의 현실과는 다분히 핀트가 어긋나 있다. 문체부의 프로젝트는 지금의 게임 시장의 해법을 마련하는 대신 새로운 시장을 열겠다고 주장한다.

지역 게임산업 육성 및 가상현실에 172억 투자
정부의 이번 발표는 지역 게임산업과 가상현실 분야 육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각각 130억원(37%)과 42억원(11%)을 투자한다. 특히 지역 게임산업 육성책 내부에서도 광주, 전남권에 체감형 게임산업 육성 자금을, 부산 경남권에 융합형 게임산업 육성 자금을 각각 배정하며 콘텐츠를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내놓는다. 이 외에도 충남권에는 가상현실용 시뮬레이터 개발 사업에, 경기권에는 차세대 게임 창조 육성에 투자를 단행한다. 사실상 가상현실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대다수 자금을 배정하는 셈이다.
문화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국내 게임산업이 온라인게임과 모바일게임에 치중돼 있는 상황에서 성장 정체를 해소하고 미래 게임시장을 대비하기 위해 가상현실 분야를 가져 간다고 강조했다.

탈 온라인, 탈 모바일 주장 가능한가?
업계는 이 같은 발표에 난색을 표하는 분위기다. 시장이 혼란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소하지 않은 상황에서 신시장만을 강조하는 정책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특히 최근 게임산업 중 모바일게임 시장이 레드오션화 되고, 온라인과 모바일게임 시장에서 외산 게임들이 시장의 파이를 점점 장악해 나가는 상황에서 대비책이 나오지 않는 다면 게임산업 전체가 흔들릴 수 있는 상황이라는 점이 크다.
또, 아직 가상현실 시장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분야에 주력한다는 점은 뭔가 노림수가 있지 않겠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2018년 평창 올림픽을 대비해 차세대 기술처럼 전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 분야를 보여주기 위해 판을 짜고 있는 움직임이 보인다”라며 “기존 게임기업들의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하드웨어 위주로 편성돼 소위 ‘때깔이 좋은’ 전시 효과를 노린 제품들을 위주로 지원될 가능성이 높다”고 귀띔했다.
현실적으로 기존 게임산업은 눈 밖에 난 상황으로 보이기 까지 한다.

지역 밀어주기 정책 실효성은 글쎄…
끝없는 지역 부흥책에도 지적은 여전하다. 사실상 말 뿐인 개발 지원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몇몇 전통있는 회사들을 제외하고는 지역 출신 개발사들이 신작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구설수에 올라 있다.
특히 기능성 게임을 특화하겠다는 정부의 공약 역시 유명무실하다는 점도 지적 사항 중 하나다.
실제로 매 년 대한민국게임대상에서 시상하던 기능성게임에는 올해 단 한 개 게임도 응모되지 않을 만큼 이 분야는 불모지에 가깝다. 사실상 지원 과제를 받은 뒤 별다른 액션을 하지 않는다거나, ‘기능성’이 거의 없는 게임들을 ‘기능성’으로 포장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나마 실적이 효과를 발휘하던 일부 지역은 기존 진흥책 대신 다른 분야로 선외해 지원을 시작한다. 두서 없이 일단 ‘예산을 타고 보자’식 정책이라는 말이 전혀 근거 없어 보이지는 않는다.

‘철학’을 도입한 게임 나올 수 있나
문체부 김종덕 장관은 지난 11월 12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지스타 대한민국게임대상 시상식에서 참가해 게임 개발자들에게 ‘철학’을 담은 게임을 개발해주기를 주문했다. 인간의 삶을 투영해 낸 게임이 가치 있는 이야기들을 해 나감으로서 예술로서 좀 더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이 말이 주는 울림으로 인해 각 SNS에서는 개발자들이 더 좋은 게임을 개발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내년에는 이들을 위해 더 많은 정책이 쏟아지고, 보다 예술적인 게임이 탄생하고, 답답한 레드오션도 조금은 풀릴 것으로 기대하는 이들도 많았다. 과연 문체부는 철학이 담길만한 게임을 개발할 환경을 마련하고 있는 것일까.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