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게임 관련 NFT, 연초 누계 실적 최악 ‘왜’

  • 유동길 기자 ydg@khplus.kr
  • 입력 2022.07.18 09:21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인 난센(Nansen)이 지난 7월 14일(현지시간) 분기 보고서를 통해 대체불가토큰(Non-Fungible Token, NFT) 시장 내 게임 테마의 하락이 연초부터 가장 두드러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사진=WIKIPEDIA
사진=WIKIPEDIA

난센은 대체불가토큰 시장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시가총액 상위 500개, 10개의 시장 블루칩, 100개의 소셜, 50개의 게임, 20개의 예술작품, 50개의 메타버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취합해 평균을 지표로 분석했다. 
이중 게임 테마의 대체불가토큰은 지난 6월 30일을 기준으로 연초 누계(YTD) 59.6%의 하락률을 나타냈다. 예술작품 관련 대체불가토큰은 시장에서 게임 관련 상품 이외에 유일하게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 테마였다. 예술 관련 대체불가토큰의 연초 누계 성장률은 마이너스 1.8%였다. 
 

난센의 2분기 대체불가토큰 시장 보고서(사진=난센)
난센의 2분기 대체불가토큰 시장 보고서(사진=난센)

대체불가토큰 시장 내 게임 테마의 약세는 지난 3월에 발생한 엑시인피니티(Axie Infinity) 해킹 사건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보인다. 액시 인피니티 내 해킹 사건은 지난 3월 23일 게임 내 가상화폐를 주고받는 네트워크인 로닌(Ronin)을 탈취하는 방법을 통해 발생했다. 
엑시인피니티 해킹 사건을 통해 도난당한 가상화폐 규모는 당시 환율로 7,400억 원에 상응하는 6억 달러였다. 미국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지난 4월 엑시인피니티 내 해킹 사건의 배후로 북한의 대표 사이버범죄 집단인 라자루스 그룹(Lazarus Group)을 지목했으며 관련 이더리움 가상화폐 계좌를 동결시킨 바 있다. 
 

대체불가토큰 테마별 연초 누계 증감율(사진=난센)
대체불가토큰 테마별 연초 누계 증감율(사진=난센)

예술 관련 대체불가토큰은 난센의 조사 결과에서 게임 테마와 함께 유일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상품이었으나 6월에 걸쳐 총 33.1%의 시세 상승률을 만들어낸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 최고 인기 작품의 평균 지표인 10개의 시장 블루칩 테마의 경우 같은 기간 23.6%의 상승률을 보였다. 메타버스와 소셜 및 상위 500 대체불가토큰의 경우 각각 21.9%와 19.7% 및 8.5%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밝혀졌다. 
 

난센이 취합한 테마별 대체불가토큰의 월별 움직임(사진=난센)
난센이 취합한 테마별 대체불가토큰의 월별 움직임(사진=난센)

난센은 “지난 2분기 말 게임 테마를 제외한 모든 대체불가토큰 부문이 반등을 기록했다”라며 “최근 발생한 대체불가토큰 시장 내 반등은 블루칩 테마가 주도했다”라고 말했다. 
지난 6월 가상화폐 시장은 폭락했으나 블루칩 테마의 상품은 17.9% 시세 반등을 이뤄냈다는 게 난센의 설명이었다. 
 

미국 재무부는 북한 해커집단인 라자루스 그룹을 특별지정제재대상으로 지정했다(사진=미국 재무부)
미국 재무부는 북한 해커집단인 라자루스 그룹을 특별지정제재대상으로 지정했다(사진=미국 재무부)

한편 미국의 게임 유통 업체인 게임스톱은 지난주 자체 대체불가토큰 거래소를 출시했다. 게임스톱은 커뮤니티 구성원이 대체불가토큰을 매매할 수 있도록 베타테스트 거래소를 선보였다고 설명했다. 
해외 가상화폐 전문매체인 코인텔레그래프는 루프링 기반의 대체불가토큰 지갑이 구글 크롬 인터넷 브라우저 통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