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로 페도로프(Mykhailo Fedorov) 우크라이나 부총리가 지난 2월 27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국제사회에 러시아 기반 가상화폐 주소를 규제해 달라고 호소했다.

우크라이나의 이번 요청은 미국과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의 국가가 지난 2월 26일(현지시간) 러시아 은행을 국제은행간통신협회인 스위프트(SWIFT) 결제망에서 배제하는 제재를 발표함에 따라 러시아의 자금이 가상화폐를 통해 움직일 것을 걱정한 목소리였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 내 가상화폐 자금이 일반인을 가장해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주요 글로벌 거래소에 러시아 기반 코인 지갑의 전반적인 규제를 요청했다.
미하일로 페도로프 부총리는 개인 트위터 계정을 통해 “모든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에 러시아 사용자의 주소를 차단하는 요청을 진행하고 있다”라며 “이를 받아들여주는 업체를 대상으로 ‘후한 보상(generous reward)’을 지급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 및 벨로루시 정치인과 관련된 디지털 지갑에 대한 정보까지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 정부의 요청과 관련해 가상화폐 거래소 업계가 전반적으로 어떠한 움직임을 보일지는 아직 불분명하나 바이낸스의 경우 지난 2월 27일(현지시간)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해당 업체의 우크라이나 내 인도적 위기를 위해 1천만 달러(한화 약 120억 원)의 기부금을 전달했다고 전했다.
이 밖에 해당 업체의 자선재단은 별도의 긴급구호 펀드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바이낸스 측은 블룸버그와의 이메일 질의를 통해 러시아 내 가상화폐 지갑 사용 중단 계획은 진행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바이낸스 측은 수백만 명에 달하는 무고한 이용자의 계정을 일방적으로 동결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해당 거래소는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발맞춰 추가적인 행보에 나설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측은 현재 러시아 정치인의 디지털 지갑을 식별해 독성(toxic)이라고 명시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가상화폐 시장 내 우크라이나 정부에 대한 비트코인 기부금은 2월 28일을 기준으로 112.17개(한화 약 52억 원)를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우크라이나 정부가 현금화한 비트코인은 25억 2천만 원 상당의 54.2개다.
[경향게임스=유동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