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정부가 올 상반기 시베리아 지역에 개설 예정인 현지 가상화폐 채굴장에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밝혀졌다.

현지 매체인 알비씨(rbc)는 지난 2월 8일(현지시간) 러시아 극동개발부 산하 극동북극개발공사(fedc)가 부랴티야 공화국에 설립된 가상화폐 채굴 센터에 직접적인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을 받을 가상화폐 채굴장은 현지 최대 채굴 업체인 ‘비트리버(BitRiver)’가 소유하고 운영할 예정이다. 채굴기 3만 대 규모로 지어질 ‘비트리버’의 가상화폐 채굴장은 향후 러시아 극동북극개발공사로부터 토지세와 재산세를 면제받고 소득세와 전기세 및 보험료를 일정 수준 감면받을 것으로 파악됐다.
알비씨는 1,200만 달러(한화 약 151억 원) 규모로 설립될 ‘비트리버’가 100명의 인력 규모로 100메가와트(MW)의 전력을 소비하는 채굴장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비트리버’가 건설될 부랴티야 공화국의 경우 러시아 정부가 외국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운영 중인 특별 경제 구역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러시아 내 가상화폐 채굴에 대한 논의는 지난해 9월부터 본격화됐다. 알비씨는 지난해 9월 26일(현지시간) 현지 정책 입안자들이 가상화폐 채굴 허용 지역에 대한 논의 중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지난해 9월을 기준으로 가상화폐 채굴 가능 지역으로 시베리아의 이르쿠츠크시와 크라스노야르스크시, 트베리주, 사라토프주, 스몰렌스크주, 레닌그라드주 등이 거론됐다. 시베리아는 수력발전소가 있으며, 나머지 주의 경우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는 점에서 나온 제안이었다.
러시아 하원에서는 지난해 11월 17일(현지시간) 가상화폐 채굴 관련 입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채굴 입법안은 가상화폐 생산과 생산된 자산의 판매를 합법화하자는 내용이 골자였다. 채굴이 가능한 특정 지역도 거론됐다. 채굴 활동에 대한 세금 도입을 염두에 둔 고려였다.
러시아에서 채굴되는 가상화폐는 향후 현지 유통보다는 국외 거래에 사용될 전망이다. 현지 언론인 인테르팍스(InterFax)는 지난해 12월 7일(현지시간) 러시아 중앙은행이 비트코인 채굴 사업 합법화를 지지하는 가운데 생산된 가상화폐의 현지 유통을 금지하는 입장을 취하는 중이라고 소개했다.

인테르팍스는 현지 중앙은행이 해외 거래소 및 러시아 비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현지에서 채굴된 가상화폐 매매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러시아 중앙은행 공보실은 채굴로 얻은 가상화폐는 외국 인프라를 이용해 비거주자에게만 판매할 수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러시아 내 가상화폐 채굴 장치 판매는 지난해 4분기 급증했다. 현지 매체인 코메르산트(Kommersant)는 지난해 12월 1일(현지시간) 가상화폐 채굴자들이 러시아에서 값싼 전기료를 통해 ‘주문형 반도체(ASIC)’ 채굴기로 비트코인을 생산 중이라고 밝혔다.
코메르산트는 현지 비트코인 채굴 유통 업체인 칠쿠트(Chilkoot)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첫 두 달에 걸쳐 3분기 전체 기간보다 더 많은 매출을 기록했다고 짚었다. 비트코인 채굴기 중고 판매 시장의 경우에도 연초 높은 수준의 거래 현황을 보인다는 게 코메르산트의 분석이었다.

한편 미국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는 지난해 4월 러시아 채굴업체인 ‘비트러버’를 제재 대상으로 추가했다. 해외자산통제국은 ‘비트러버’가 채굴장 운영을 통해 러시아의 천연 자원 현금화를 도왔다고 언급했다. ‘비트러버’는 지난 2017년 설립됐다.
가상화폐 채굴 데이터를 공급하는 ‘케임브리지 비트코인 전력소비지수(CBECI)’의 지난해 1월 자료를 기준으로 러시아의 비트코인 채굴 시장 점유율은 4.66%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생산한 국가는 미국, 중국, 카자흐스탄, 캐나다, 러시아 순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