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무부(Department of Justice) 관계자가 지난 3월 12일(현지시간) 외신 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러시아 내 불법 자금 흐름 파악을 위해 가상화폐 거래소를 해당 기관의 단속 범주에 포함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법무부의 가상화폐 거래소 단속은 해당 기관이 이달 초 구성한 클렙토캡쳐(KleptoCapture) 대책본부 업무의 일환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클랩토캡쳐는 미국 정부의 대 러시아 제재 조치 중 하나로 러시아 집권층의 자금을 압박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진=미국 법무부 공식 웹사이트)
그는 인터뷰에서 “미국 법무부는 가상화폐 자산 압류를 추진하는 식으로 제재를 강화할 방침이다”라며 “가상화폐 거래소가 의도적으로 자금세탁 방지 정택을 유지하지 못해 불법적인 자산 세탁의 도피처를 제공할 경우 책임을 물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미국 법무부는 대 러시아 경제 제재 단속 대상에 가상화폐뿐만 아니라 러시아 집권층의 부동산, 기업 지분, 은행 계좌, 요트, 비행기, 보석 등의 자산 행방도 추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클렙토캡쳐 대책본부는 미국 법무부와 연방수사국(FBI), 비밀경호국(U.S. Secret Service),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국세청(IRS), 미 연방보안국(US Marshals Service), 우편조사국(Postal Inspection Service) 등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지난 3월 11일(현지시간) 상당 수의 러시아 가상화폐 자금이 아랍에미리트(UAE)의 두바이로 흘러가 해당 지역의 부동산을 매매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자금 유동은 영세 중립국인 스위스가 지난 2월 28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의 대 러시아 금융 제재에 동참하겠다고 발표한 후 발생한 움직임이라고 설명했다. 아랍에미리트는 현재 자금세탁방지금융대책기구(FATF) 감시단의 ‘회색 리스트’로 규정돼있는 상태다.
[경향게임스=유동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