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동부(the U.S. Department of Labor)가 지난 3월 10일(현지시간)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가상화폐 관련 상품은 직장에서 제공하는 개인 퇴직연금인 401(k) 가입자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401(k)는 회사가 매일 일정량의 퇴직금을 적립하면 근로자가 해당 자산을 운용하며 스스로의 투자 결과에 책임을 지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자산 운용 성과에 따라 개인이 수령하는 연금액은 달라지며 상품은 고용주가 선택한 투자 옵션에 제한된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 노동부는 비트코인 401(k) 제공이 투자자들에게 사기와 도난 및 금융손실 등의 심각한 재정적 위험을 안겨줄 수 있다며 해당 상품을 직원들의 자금 운용 계획에 사용하려는 고용주들에게 추가하기 전 극도의 주의를 기울이라고 경고했다.
해당 기관은 “가상화폐와 대체불가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 등 블록체인 관련 상품의 경우 투기적이고 변동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기 어렵다”라며 “비밀번호 분실 또는 규제 등의 변수가 발생 시 자산을 영원히 잃어버리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사진=미국 노동부 공식 웹사이트)
미국 노동부는 이와 관련해 지난 10여 년간 고용주들이 현명하지 못한 펀드를 선택함에 따라 발생한 다수의 401(k) 소송 사례가 있었다는 점도 강조했다. 401(k) 법정 공방은 고용주들이 선택할 수 있는 투자와 관련해 수탁 의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해당 기관은 고용주들 스스로 신중하게 투자 상품을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적합성에 대해 확인할 것을 요구했다. 미국 노동부가 비트코인 401(k)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높인 배경에는 최근 몇 달에 걸쳐 늘어난 금융 서비스 업체들의 가상화폐 투자 상품 홍보가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미국 재무부는 지난 3월 8일(현지시간) 로이터를 통해 디지털 자산 투자와 관련된 위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전하기도 했다.
[경향게임스=유동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