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제은행(BIS)이 지난 6월 21일(현지시간) 기관 연례 보고서 발행을 통해 가상화폐 경제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시했다.

가상화폐 시장의 경우 유망한 기술적 가능성을 갖고 있지만, 화폐 시스템 내 높은 수준의 목표까지 모두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이 국제결제은행의 총론이었다.
국제결제은행은 부분적으로만 규제가 가능한 가상화폐 생태계는 안정성, 효율성, 책임성, 무결성 측면에서 결점을 내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법정화폐 가치를 일대일로 추종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생태계 붕괴 가능성을 강조했다.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명목상으로 국제 통화 가치를 추종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통화의 가치를 고정(페그) 시키고 제도적인 준비와 신뢰성을 제공하는 중앙은행의 역할 자체가 부재한다는 분석이었다.
국제결제은행은 “결제에 대한 회계 단위를 제공하는 것이 중앙은행의 주요 역할이다”라며 “스테이블코인이 중앙은행 화폐의 신뢰성 부문을 채택해야 한다는 것 자체가 구조적인 단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가상화폐와 일반 화폐의 차이점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서도 짚었다. 일반 화폐는 강세를 보이는 특정 자산에 수요가 몰리는 ‘승자독식’ 속성을 내포한 반면, 가상화폐의 경우 특정 자산에 사람이 몰릴수록 거래 수수료가 높아지고 처리 속도가 느려져 시장 참여자들이 새로운 생태계로 떠나는 ‘분열’ 성질이 강하다는 의견이었다.
국제결제은행은 “돈은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사회에 봉사하는 조정 장치다”라며 “가상화폐 경제에서 발생하는 ‘분열’ 특성은 화폐 생태계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또 다른 구조적 결함이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국제결제은행의 보고서는 가상화폐 기술 자체에 대해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조건부 거래 방식을 통해 빠른 속도와 기능을 제공하는 가상화폐 지술 자체에는 현재의 통화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존재한다는 입장이었다.
보고서는 “향후 고려해야 할 한 가지 질문은 가상화폐의 유용한 기능이 중앙은행 화폐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의 통화시스템과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제결제은행의 디지털 화폐(CBDC)와 블록체인 연구 전문 산하기관은 ‘이노베이션 허브’는 지난 6월 17일(현지시간) 2022년 업무 프로그램 최신화의 일환으로 가상화폐 시장 오픈소스 인텔리전스 플랫폼 구축을 제시했다.
국제결제은행의 인텔리전스 플랫폼 구축은 가상화폐 시장 내 자산, 거래량, 시가총액 등에 대한 데이터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스테이블코인과 디파이(Defi) 등의 위험과 잠재력을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서 나온 계획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