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이 최근 북한 관련 국제사회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 및 경각심 제고를 위한 노력 요건 중 하나로 가상자산을 지목했다.

외교부는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지난 2월 2일 미국 워싱턴에 방문해 앤 뉴버거(Anne Neuberger) 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이버·신흥 기술 담당 국가안보부보좌관과의 면담를 통해 북한의 가상자산 및 정보기술(IT) 시장 내 불법활동에 대해 논의했다고 발표했다.
긴밀한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 탈취 자금 세탁 등 조력 행위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는 게 외교부의 입장이었다.
외교부는 “양측은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위협에 대한 우려를 공유했다”라며 “북한의 불법적인 사이버 외화벌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법을 협의했다”라고 말했다.
특히 최근 북한 정보기술 인력들이 신분을 위장해 관련 기업에 취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점에서 민관 공조를 통해 인식 제고 활동을 강화하겠다는 게 한미 관계자의 설명이었다. 가상자산 시장 내 북한 연계 사이버해킹 조직의 탈취 자금은 매해 증가 추세에 있다.
북한 연계 사이버해킹 조직은 지난해 가상자산 시장에서 총 38억 달러(한화 약 4조 6,512억 원)의 가상화폐 자금을 탈취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 분석업체인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는 지난 2월 1일(현지시간) 지난해 북한 연계 사이버해킹 조직의 가상화폐 불법적 탈취 사건이 사상 최악의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난해 10월은 북한 연계 사이버해킹 조직의 가상화폐 탈취가 가장 빈번했던 시기였다.
체이널리시스는 “지난해 10월 북한 연계 사이버해킹 조직이 총 32건의 공격을 통해 7억 7,570만 달러(한화 약 9,495억 원)의 가상화폐를 탈취했다”라며 “가상화폐 해킹이 북한 경제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북한이 미사일과 핵무기 프로그램에 자금을 대기 위해 가상화폐 해킹 의존성을 높이고 있다는 게 체이널리시스의 분석이었다.
미국의 경제매체인 블룸버그(Bloomberg)는 지난해 8월 가상화폐 거래소 위장 취업을 위해 허위 이력서로 직업을 구하는 북한 해커들의 활동이 포착됐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북한 해커들이 구직 활동을 위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게임 개발 및 가상화폐 거래소 구축 관련 직무 경험이 있다고 이력서에 작성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행정부인 백악관은 지난해 9월 공개한 디지털자산 관련 규제 기반 구조 발표를 통해 국가안전보장회의에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개발 실무 진행 정기회의 참여를 지시했다.
미국 국가경제위원회(NEC), 과학기술정책실(OSTP), 연방준비제도(Fed)와의 정기 회의를 통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관련 실무 진행 현황을 다루고 유관부처와 정보를 공유하라는 게 백악관의 지침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