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비트코인 채굴 2위’ 카자흐스탄, 내부 악재로 입지 ‘흔들’

  • 유동길 기자 ydg@khplus.kr
  • 입력 2022.02.22 09:27
  • 수정 2022.02.22 18:46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의 지난해 5월 대대적인 가상화폐 관련 산업 단속 이후 전 세계 비트코인 채굴 산업의 18%를 점유하며 시장 강자로떠오른 카자흐스탄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카자흐스탄 내 불안정한 전력 공급과 해당 국가 정부의 수수료 부과 등으로 인해 채굴 산업 내 주도권을 잃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지난 2월 17일(현지시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최대 규모의 채굴 업체인 비트마이닝(Bit Mining)을 포함한 몇몇 회사는 이미 카자흐스탄 내 사업 확장 계획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9년 전 세계 채굴 산업의 75%를 차지하던 중국 내 규제 발생 이후 다수의 기업들은 카자흐스탄으로 옮겨갔다. 이에 카자흐스탄은 지난해 8월 중국 채굴 기업에 힘입어 가상화폐 채굴 데이터를 공급하는 케임브리지 비트코인 전력소비지수(Cambridge Bitcoin Electricity Consumption Index, CBECI) 기준 전 세계 2위를 차지했다. 해당 목록에서 1위는 미국이었으며 3위는 러시아였다. 
 

카자흐스탄의 지난해 8월 글로벌 비트코인 채굴 산업 점유율(사진=케임브리지 비트코인 전력소비지수)
카자흐스탄의 지난해 8월 글로벌 비트코인 채굴 산업 점유율(사진=케임브리지 비트코인 전력소비지수)

지난 1월 카자흐스탄 정부는 중앙아시아 지역 내 전력 부족과 관련해 약 일주일간 가상화폐 채굴 업체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했다. 해당 국가의 이와 같은 조치는 채굴 업체에 있어 사업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카자흐스탄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벌어지고 있는 지정학적 긴장이 미치는 가스비와 석유 가격 등과 관련한 영향을 받는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글로벌 에너지원 가격이 인상 추세를 보일 경우 카자흐스탄의 저렴한 전기세도 이에 대한 영향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지난 2021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전 세계 7위 규모의 석탄 보유 국가이지만 해당 목록의 1위와 2위가 미국과 러시아라는 점에서 글로벌 정세에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와 관련해 자체적으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미국과 러시아 등의 국가들이 가상화폐 채굴에 대한 문을 열어놓는 과정이라는 것도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사진=Flickr.com
사진=Flickr.com

미국 내 조지아, 일리노이, 켄터키주 등은 현재 주 의회 차원에서 가상화폐 채굴 산업을 장려할 수 있는 법안을 내놓고 있으며 러시아의 경우에도 연방정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가상화폐 채굴 산업 법제화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현재의 카자흐스탄 내 채굴 상황과 관련해 관련 업체인 솔루나 컴퓨팅(Soluba Computing)의 필립 Ng(Phillip Ng) 개발담당 부사장은 가상화폐 전문 매체인 코인텔레그래프를 통해 "카자흐스탄 내 채굴 산업은 지속 불가능한 전력 보조금 등으로 인해 하락할 것이다"라며 "향후 글로벌 해시율의 10~15%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는다"라고 말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현지 석탄업체들에 보조금 혜택을 제공한 바 있으며 이는 채굴 산업에 사용되는 전력을 저렴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로이터 통신은 지난 1월 6일(현지시간) 해당 매체 보도를 통해 당국이 국가 재정 안정을 위해 전력 보조금철폐를 고려하고 있다고 짚은 바 있다. 
한편 탈중앙화 개인(P2P)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오리진 프로토콜(Origin Protocol)의 공동 설립자인 조시 프레이저(Josh Fraser)는 코인텔레그래프를 통해 "미국, 캐나다, 독일 등의 국가가 높은 가용성의 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세계 채굴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일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밝혔다.

 

[경향게임스=유동길 기자]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