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문제와 관련해 지난 11월 11일(현지시간) 미국 델라웨어주 법원에 파산을 신청한 에프티엑스(FTX) 가상화폐 거래소가 본사 소재지인 바하마에서 범죄 및 부정행위 여부 관련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로이터 통신 11월 14일(현지시간) 바하마 현지 경찰이 에프티엑스 붕괴 당시 위법 행위가 발생했는지에 대해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바하마 내 에프티엑스 조사는 현지 금융범죄수사국과 증권위원회의 주관하에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수사와 관련해 샘 뱅크먼-프리드(SBF) 최고경영자가 보도 시점을 기준으로 바하마에 체류하고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현재 바하마 규제 당국 이외엔 미국의 정부 기관이 에프티엑스 내 위법행위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미국 경제매체인 블룸버그(Bloomberg)는 11월 10일 현지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에프티엑스의 고객 자금 운용 현황 및 협력사와의 관계 등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증권거래위원회는 수개월 전부터 에프티엑스의 가상화폐 대출 현황을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에프티엑스 사태가 가상화폐 전반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침에 따라 미국 행정부인 백악관도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해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카린 장-피에르(Karine Jean-Pierre)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11월 10일(현지시간) 미디어 브리핑을 통해 미국 행정부가 에프티엑스의 붕괴에 가상화폐 시장에서의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적절한 감독이 없는 상황 속 미국 행정부는 가상화폐가 일반 미국인들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일관되게 유지해 왔다는 게 카린 장-피에르 대변인의 입장이었다. 에프티엑스 사태는 미국 연방 정부 외에 주 정부 기관도 조사를 돌입한 상황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금융보호혁신국(DFPI)은 지난 11월 10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에프티엑스 거래소 파산에 대해 자체적인 조사에 돌입했다고 발표했다.
캘리포니아에서 증권과 대출 등 금융 서비스 운영한 모든 업체는 현지 금융법을 준수하기를 기대한다는 게 금융보호혁신국의 입장이다.
텍사스주의 증권위원회(SSB)는 지난 10월 14일 (현지시간) 에프티엑스의 미국 자회사인 ‘에프티엑스 유에스(FTX US)’ 모두가 현지 당국에 등록을 하지 않은 채 운영을 했다는 이유로 조사에 들어갔다고 공개하기도 했다.
조사의 골자는 ‘미등록 유가증권’ 판매였다. ‘에프티엑스 유에스’가 텍사스에서 증권으로 규제된 수익률 보유 예금 계좌를 제공했다고 보고 있다는 게 텍사스주 증권위원회의 의견이다.

한편 에프티엑스의 파산 신청은 자회사이자 협력사인 ‘알라메다리서치(Alameda Research)’ 자산운용사와 ‘에프티엑스 유에스’를 포함한 130개 계열사 모두 포함해 화제가 됐다.
샘 뱅크먼-프리드 '에프티엑스' 최고경영자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11월 10일까지 이번 유동성 사태에 재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피력한 바 있다. 에프티엑스의 파산은 파산법원의 감독 아래 구조조정을 실시해 회생을 시도하는 절차인 ‘챕터 11’ 방식으로 이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