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금융 당국이 정부 주도 가상화폐 거래소를 설립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미국 경제매체인 블룸버그를 통해 지난 1월 4일(현지시간) 나왔다.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SFA)이 향후 2년 동안 현지 가상화폐 규제를 맡으며 기간 내 거래소가 설립될 것이란 게 블룸버그의 설명이었다. 현재까지 현지 가상화폐 규제는 인도네시아 상품선물거래규제국(Bappebti)이 담당했다.
인도네시아 상품선물거래규제국은 현재까지 총 393개의 가상화폐 거래를 허용하고 161개의 자산 거래를 추가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정부는 지난해 처음 가상화폐 부문 세금 정책을 도입했으며 200억 원의 징수액을 거둬들이기도 했다.
스리 물랴니(Sri Mulyani) 인도네시아 재무 장관은 지난해 12월 21일(현지시간) 기자 간담회를 통해 가상화폐 징수를 작년 6월부터 시작했으며 소득세와 부가가치세 관련 세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에서 징수된 가상화폐 소득세와 부가가치세 규모는 각각 1,104억 루피아(한화 약 91억 원)와 1,213억 루피아(한화 약 100억 원)로 전해졌다. 당시 스리 물랴니 재무장관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올해도 가상화폐 과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 2021년 가상화폐 거래가 급증함에 따라 징수를 시작했다.
현지 징수는 0.1%의 가상화폐 구매 부가가치세(VAT) 납부와 0.1%의 양도 소득세로 구성돼있다. 세율은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에 따라 달라진다. 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은 곳의 경우 0.2%의 세율이 책정되는 방식이다.
블룸버그는 지난해 11월까지의 인도네시아 내 가상화폐 인구를 1,600만 명으로 추산하기도 했다. 인도네시아 내 지난 2022년 1월부터 11월까지의 거래 규모는 300조 루피아(한화 약 24조 5,700억 원)로 드러났다.

한편 국가 주도 가상화폐 설립 논의는 러시아와 이스라엘에서도 논의 중인 사안이다. 러시아 매체인 베도모스티(Vedomosti)는 지난해 11월 23일(현지시간) 현지 하원인 국가두마에서 정부가 운영하는 가상화폐 거래소를 출범시키기 위한 개정안이 마련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의 경우 현지 증권거래소가 지난해 10월 신규 5개년 전략 중 하나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자산 거래 플랫폼 구축’과 ‘가상화폐 세계 진입’을 거론했다.
기술금융(핀테크) 기술을 도입하고 개발해 전 세계 증권 거래소에 서비스와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겠다는 것이 이스라엘 증권거래소의 목표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