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일본 금융청,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4곳에 경고장 발부

  • 유동길 기자 ydg@khplus.kr
  • 입력 2023.04.05 08:35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금융청(FSA)이 지난 3월 31일 다국적 가상화폐 거래소 네 곳을 상대로 미등록 운영 관련 경고장을 발부했다. 
 

일본 금융청
일본 금융청

경고장을 받은 거래소로는 바이비트(Bybit), 비트겟(Bitget), 비트포렉스(BitForex), 멕스씨(Mexc)가 있다. 현지 금융청은 네 곳의 거래소가 미등록 상태로 영업을 이어온 것이 일본 자금결제법을 위반하는 행위였다고 설명했다. 
일본 당국은 지난 2020년 가상화폐 거래소가 기관에 등록을 통해 영업을 허가받는 방식의 규정을 도입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단속을 계기로 일본 당국의 감독 기조가 강화될 거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사기와 자금세탁 등의 이유로 미등록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한 정부 기관의 단속 의지가 커질 거란 시각이다. 
특히 일본의 경우 오는 5월 주요7개국(G7) 히로시마 회의를 통해 가상화폐 규제 강화 추진에 대한 논의를 준비하고 있다. 
 

일본 금융청이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네 곳읗 상대로 미등록 운영 관련 경고장을 발부했다(사진=일본 금융청)
일본 금융청이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네 곳읗 상대로 미등록 운영 관련 경고장을 발부했다(사진=일본 금융청)

일본의 통신사인 교도(Kyodo)통신은 지난 3월 26일 주요7개국 재무정상이 오는 5월 중순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통해 가상화폐 규제 논의 속도를 높일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교도통신은 주요7개국 재무정상의 가상화폐 시장 논의가 지난해 ‘에프티엑스(FTX)’ 파산과 지난 3월 발생한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실버게이트은행’ 파산 속 결정됐다고 전했다. 가상화폐 시장으로부터 야기되는 잠재적인 위험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7개국이 공동 선언문을 통해 집단적인 노력을 도출할 거란 게 교도통신의 설명이었다. 
가상화폐 관련 사항이 오는 4월 중순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의 의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도 존재했다. 
 

G7 회원국이 오는 5월 가상화폐 규제를 논의할 예정이다(사진=교도통신)
G7 회원국이 오는 5월 가상화폐 규제를 논의할 예정이다(사진=교도통신)

한편 다국적 가상화폐 거래소인 크라켄(Kraken)과 코인베이스(Coinbase)는 각각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일본에서 사업을 철수했다. 
일본 내 가상화폐 거래 급감 및 투자 유지 불가능이 주된 철수 사유였다. 반면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경우 지난 11월 30일(현지시간) 일본 거래소인 사쿠라(Sakura)를 인수하며 시장 진출에 대한 활로를 마련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