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가격이 미국 정부 부채한도 상한선 적용 유예 소식에 지난 5월 29일 3,780만 원 선까지 회복하는 모습을 그렸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지난주 3,500만 원까지 하락한 바 있다. 미국 부채한도 상향 협상 난항과 계속된 긴축 정책에 따른 결과였다.

특히 3,500만 원의 지난 5월 25일 비트코인 시세는 3월 17일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부채한도 협상을 둔 상황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가상화폐 시장 감독 시사는 업계를 다시 긴장하게 만들기도 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달에만 두 차례 이상 가상화폐 채굴산업에 대한 과세를 실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특히 지난주 일본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서는 가상화폐 시장을 ‘정유업계 세금 감면혜택’, ‘메디케어(의료서비스) 축소’, ‘교직원 감축’ 등과 함께 거론하며 특정 산업에 투입되는 세금에 한해서는 지원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현지 매체인 야후뉴스(Yahoo News)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가상화폐 채굴 세금 부과를 통한 예상 과세 수익은 10년 동안 35억 달러(한화 약 4조 6,655억 원)로 파악됐다. 바이든 행정부가 가상화폐 채굴 산업에 적용하려는 세율은 30%다.

미국 행정부를 비롯한 산하 부처의 가상화폐 시장 옥죄기 정책이 이어짐에 따라 업계 투자운용사인 아크인베스트먼트(Ark Investment)는 현지 시장 영향력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몇몇 국가로 분산될 거란 관측을 내놓기도 했다.
아크인베스트먼트의 야신 엘만드라(Yassine Elmandjra) 분석가는 현지 가상화폐 트레이딩 업체인 제인스트리트(Jane Street)와 점프크립토(Jump Crypto)의 미국 사업 철수를 예시로 들며 관련 업체들의 탈(脫) 미국화가 가시화되는 중이라고 전했다.
야신 엘멘드라 분석가는 미국 내 비트코인 일일 거래량이 지난 3월 200억 달러(한화 약 26조 5,600억 원) 규모에서 최근 40억 달러(한화 약 5조 3,120억 원)까지 75%가량 감소한 것을 강조하기도 했다. 미국 정부적 차원의 강경 정책에 현지 가상화폐 유동성도 줄었다는 지적이었다.

한편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28일(현지시간) 현지 하원의장인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과 현지 정부의 부채 한도 상향 협상에 최종 합의했다. 양측은 미국 다음 대선이 치러지는 오는 2024년까지 2년간 부채한도를 상향하기로 결정했다.
비트코인은 5월 30일 오전 현재 전일대비 0.99% 하락한 3,698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가상화폐 시장 내 대표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자산)인 이더리움의 가격은 0.55%의 일간 하락률과 함께 252만 원으로 확인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