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연방 국세청(RFB)이 지난 7월 현지 납세자 번호(CPF)를 기반으로 조사한 결과 현지 가상화폐 사용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7월을 기준으로 집계된 브라질 내 가상화폐 사용인구는 133만 6,715명이었다. 브라질 내 가상화폐 사용인구는 지난 2월부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며, 6월과 7월에 걸치며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 5월까지 35만 명 수준이었던 브라질 내 가상화폐 인구수는 6월에 80만 명 규모로 집계됐으며 지난달 백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 5월부터 6월까지의 브라질 내 가상화폐 인구수 증가율은 117.27%였으며, 이후 한 달에 걸쳐 43.03%가 추가적으로 증가했다.

지난 7월을 기준으로 브라질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사용한 가상화폐는 테더, 비트코인, 유에스디씨, 이더리움 순으로 파악됐다. 브라질 내 가상화폐 사용 순위에서 스테이블코인인 테더와 유에스디씨가 상위권을 차지한 것은 미국 금리인상 정책에 따른 현지 물가하락을 우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정책으로 발생 가능한 브라질 통화 가치 하락의 대안책으로 현지인들이 스테이블코인을 선택했을 거란 의견이다. 테더와 유에스디씨 등의 스테이블코인은 달러화를 일대일로 추종하는 가상화폐다.
지난 7월 브라질 내 가상화폐 사용인구 통계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사항은 여성 투자자의 시장 참여 확대 현상이었다. 지난 6월까지 15% 안팎으로 추산됐던 브라질 내 여성 가상화폐 참여자는 7월에 18.5%까지 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브라질 내 가상화폐 인구가 증가는 현지 과세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 연방 국세청(RFB)은 지난 5월 관보를 통해 가상화폐 처분 시 발생할 이득을 개인소득세로 간주하고 세금을 부과하는 예비 안건을 발표했다.
가상화폐 처분 규모가 월 3만 5천 헤알(한화 약 918만 원) 이하일 경우 소득으로 해석하지 않겠다는 게 당시 브라질 연방 국세청의 설명이었다.
브라질 연방 국세청의 과세 계획 공개는 해당 국가 내 비트코인 규제정책 수립이 가까워짐에 따라 발표된 것으로 추정된다. 브라질 상원 의회는 지난 4월 말 해당 국가 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의 일상적 사용을 포함하는 법안을 가결한 바 있다.

한편 브라질의 연방 수사기관인 브라질연방직할구·지역검찰국(MPDFT)은 지난 7월 가상화폐 시장 전담 특별팀인 ‘크립토’를 구성했다.
현지 매체인 블룸버그리네아는 ‘크립토’팀은 향후 브라질 법무 장관실과 사법부 및 경찰 조직에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중 교육을 담당할 거라고 보도했다. ‘크립토’팀은 현지 정부가 개설한 첫 번째 가상화폐 관련 공공 부처인 것으로 파악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