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후난성 헝향현의 공안 당국이 가상화폐를 이용해 400억 위안(한화 약 7조 9,572억 원) 규모로 자금 세탁을 시도한 일당을 체포했다고 지난 9월 23일 발표했다.

현지 공안은 체포된 일당이 유선 사기 및 불법 도박으로 가상화폐를 구매한 후, 다시 미국 달러로 환전하는 방식을 통해 자금을 세탁했다고 설명했다. 400억 위안 가상화폐 자금 세탁과 관련해 체포된 인원은 93명이며, 연관된 100개 이상의 전자기기가 압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공안 당국은 현재까지 범죄자금으로 흘러간 3억 위안(한화 약 596억 7,900만 원)에 대한 자금 동결도 마쳤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헝향현 공안 당국의 이번 체포는 현지 가상화폐 사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9월 가상화폐 거래를 불법 활동으로 규정하고 금지했으나 여전히 높은 사용률을 나타내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인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이달 중순 발표한 ‘2022 글로벌 가상자산 도입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시장은 여전히 전 세계 10위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같은 순위 목록에서 국내 시장이 23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중국 현지에서의 사용은 규제 시행 이후에도 활발한 모습임을 추론할 수 있다.
중국은 올해를 기준으로 여전히 동아시아 지역 내 가상화폐 도입이 가장 활성화된 국가다. 체이널리시스는 현재 중국 내 가상화폐 사용 현황과 관련해 현지 단속과 제재가 효과가 없거나 느슨히 시행됐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현지 가상화폐 규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광고 감독 등으로 이뤄지고 있다.
홍콩 매체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8월 중국의 사이버공간관리국(CAC)이 최근 현지 소셜네트워크 내 1만 2천 개의 가상화폐 홍보 관련 계정 삭제를 명령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당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이 현지 소셜네트워크 플랫폼에 ‘금융혁신’이라는 명목으로 가상화폐를 광고하는 계정 삭제를 지시했다고 알렸다. 웨이보, 바이두, 위챗 등의 소셜네트워크 플랫폼을 대상으로 시행된 명령이었다.

한편 중국 정부의 가상화폐 시장 관련 규제 움직임은 대체불가토큰(NFT) 산업 감독으로 옮겨가는 모양새다.
중국 현지 규제 기관인 은행 협회와 인터넷 금융 협회 및 증권 협회는 지난 4월 디지털 수집품 투자 내 산재한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증권 및 금융화되는 디지털 수집품의 불법적 발행과 거래 활동을 억제해야 한다는 것이 공동 성명의 골자였다.
공동 설명 발표 이후 중국 거대 기술기업들은 자체적인 규제 움직임에 나섰다.
현지 기술기업인 텐센트의 경우 자체 플랫폼인 ‘텐센트 뉴스’ 내 디지털 컬렉션 판매 서비스를 중단하고 모바일 메신저인 ‘위챗’ 내 디지털 컬렉션 제공 금지 조항을 추가했다.

텐센트를 포함한 바이두, 징둥닷컴, 알리바바그룹, 앤트그룹 등의 기업은 지난 6월 30일(현지시간) 디지털 컬렉션 관련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고 2차 거래 시장을 설립하지 않겠다는 내용 등을 담은 자체적인 규제 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