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국제통화기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전용 플랫폼 구축 계획 발표

  • 유동길 기자 ydg@khplus.kr
  • 입력 2023.06.20 08:23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이하 디지털화폐) 전용 플랫폼 구축을 통해 국가 간 통화 거래를 촉진할 방침이다. 
 

국제통화기금(IMF)
국제통화기금(IMF)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Kristalina Georgieva) 국제통화기금 총재는 지난 6월 19일(현지시간) 모로코에서 열린 아프리카 중앙은행 회의에 참석해 글로벌 디지털화폐 플랫폼 개념 연구를 시행 중이라고 전했다. 
현지 소식을 전한 로이터통신은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가 디지털화폐의 효율성과 공정성을 촉진하기 위한 요소로 국가 간 연결된 디지털화폐 시스템을 거론했다고 알렸다. 
로이터는 현재 국제통화기금이 상호 운용성 측면에서 디지털화폐에 대한 공통 규제안을 마련하길 희망하며, 가상화폐 시장을 축소할 대안 중 하나로 플랫폼 도입을 고려 중이라고 설명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이미 114개의 중앙은행이 디지털화폐 실험을 진행 중이며 그중 10곳은 이미 마무리 상태에 있다”라며 “만약 각국 중앙은행이 현지 사용만을 위해 디지털화폐를 개발한다면 기술적 역량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국제통화기금이 글로벌 디지털화폐 플랫폼 개념 연구를 시행 중이라고 전했다(사진=로이터)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국제통화기금이 글로벌 디지털화폐 플랫폼 개념 연구를 시행 중이라고 전했다(사진=로이터)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디지털화폐 도입이 금융 포용성을 촉진하는 것 외에도 국가 간 통화 송금 비용을 줄일 거라고 내다보기도 했다. 디지털화폐 도입 시 연간 440억 달러(한화 약 56조 5,400억 원)의 송금 비용을 아낄 것이란 예상이다. 
로이터는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가 디지털화폐의 준비금도 적법한 자산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가상화폐의 경우 실물 자산이 뒷받침될 땐 ‘투자 기회’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투기’에 가깝다고 표현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국제통화기금은 오는 9월 금융안정위원회(FSB)와 가상화폐와 거시경제의 규제 관점을 통합한 보고서를 공개할 계획이다. 금융안정위원회는 오는 7월 스테이블코인 및 가상화폐 시장 활동에 대한 규제 권고안 발표도 준비 중에 있다. 
국제통화기금과 금융안정위원회 외에는 국제결제은행(BIS)이 가상화폐 관련 위험 완화 전략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 중이다.

저작권자 © 경향게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